매매사업자
-
부동산 매매사업자의 주택 매매 시 세금체계Engraving/Investment Tech 2023. 11. 23. 16:18
부동산 매매사업자가 주택을 매입하고 ~ 매도하는 시점까지 세금 체계를 정리해보고자 한다. 나는 국민평수인 85㎡ 이하의 주택의 매매를 염두에 두고 있어, 이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. 세금 체계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. - 취득세 - 보유세 (재산세, 종합부동산세) - 임대소득세 - 종합소득세(혹은 양도세) 주택 취득세 주택 취득세의 체계는 위와 같다. (개인과 동일하다.) 취득세와 함께 지방교육세를 함께 내고, 85㎡ 초과 주택은, 위 세금 뿐만 아니라 농어촌특별세도 0.2~1.0% 별도로 납부한다. 나는 비조정 지역에 3주택 이상이 아니고, 보통 공시지가 1억 이하의 소형 주택 매매를 생각하고 있으니 1.1%를 계산하면 될 것 같다. 만약 8천만원짜리 소형 아파트를 매입했다고 하면, 취득세는 ..
-
부동산 매매사업자란 무엇인가? 매매사업자의 의미와 장/단점Engraving/Investment Tech 2023. 11. 16. 21:03
부동산 매매사업자란 무엇인가? 개인적으로 재테크를 위해 최근에 소형 아파트 경매에 대해 공부하였었다. 아파트 경매를 알아보다 보니, 단기 매도 목적으로는 양도세가 엄청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. 1년 내에 처분하면 거의 차익의 70%를 세금으로 떼이고, 소형아파트 특성 상 엄청 큰 이득을 볼 수는 없기 때문에, 고생은 고생대로 하면서 적은 소득을 얻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라는 결론이 났다. 물론 2년간 보유하면 비과세이긴 하지만, 장기간 목돈이 묶여있게 되고 다주택자로서 부담해야 할 부분이 많아 여러 주택을 구매할 수 없어 수익을 크게 낼 수 없다. 시드머니를 차근차근 늘려나가야 하는 나의 투자 계획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. 그래서 찾아보다 보니, 단기 양도 목적으로는 '매매사업자' 라는 방안이..